2012년 9월 26일 수요일
역대제왕도 - 염입본
전한의 소제부터 수양제까지 역대 13명을 사자들과 더불어 묘사한 초상화
현재 남아있는 그림은 북송에서 그린 그림
황제의 크기를 항상 크게 그림(존대비소)
- 고전적인 인물의 전통적인 화풍을 따름
등장인물의 크기가 신분에 따라 나뉨
인간의 심리에 근거한 보편성을 나타내는 표현방식(심리적 원근법)
당대 인물화의 특징반영 : 풍만한 신체
여사잠도 - 고개지
서진 혜제의 비인 가씨의 비행을 풍자하며 일족의 지나친 세도를 염려하여 장화가 지은 여사잠을그림으로 그린 것
궁정 여관의 직책을 경계한 것으로 가씨의 후족을풍자한 권계적인 내용
여인이 지녀야 할 덕목을 서술한 것이다.
현재 화면 9단 내용을 적은 글 8판으로 전반 1/3없음
삼원법
1. 고원법 : 화가의 눈높이를 아래로부터 위로 올려다보는 순으로 구성하는 그림을 말하며 주로 병풍 그림에 많이 적용
2. 심원법 :
산에서 뒤 산으로 넘어 가면서 중첩되게 그리는 것을 마하며 산세의 깊이를 심오하게
강조하는 시법
3. 평원법 : 화가의 눈높이와 그림의 기준점 높이가 평행을 이루는 것으로 지평선이 앞에 가로로 놓이게 되며 산이나 평야가 바로 앞에 가까이 보이는 것
<조춘도> - 곽희
<조춘도>
조춘도 : 이른 봄날 아침의 산수 풍경을 그린 그림
중국 산수화의 완성
화론 : 산수화론의 결정판
동양 산수화의 원근법 완성(삼원법)
이동적 시각법
대기원근법, 공기원근법 - 공간감 증가, 입체적
해조묘법(소나무 묘사법) : 꽃개 집개처럼 뾰족히 잎 묘사
중국역사연대표
홈
피드 구독하기:
글 (Atom)